본문 바로가기

일상속 이야기

엔진룸 내부명칭 및 기능 2부..

 안녕하세요^^ "카스몽"입니다.

 자동차기능 1부에 이어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6,외부 휴즈박스

  자동차의 엔진룸에 괸련된 휴즈와 라이트,히터,자동차

  메인휴즈 각종 릴레이들이 들어 있습니다.

7,라지에이터 (냉각수)

  자동차의 냉각기능을 맡고 있는 곳 입니다.

  엔진시동시 엔진의 열을 식혀주는 주된 목적이

  있고 냉각수가 엔진블록사이에 물재킷(냉각수통로)

  을 따라 냉각수가 워터펌트에 의해 순환하면서 

  엔진의 열을 흡수하여 뜨거워진 냉각수가 

  라지에이터로 유입되어 라지에이터에서 냉각수온도

  를 10~15도 정도를 낮춰지면서 계속 순환하며 

  엔진의 열을 식혀 줍니다. 또한 냉각수가 히터코에

  (히터에바)도 순환을 하면서 자동차실내에 히터를

  나올수 있게 열을 제공합니다.

 *** 냉각수 캡은 엔진이 시동중 절대열면 안됩니다.

     또한 시동을 끄더라도 냉각수 캡을 바로 열지

     않고 엔진의 열이 식은 다음에 캡을 열어 냉각수

     를 보충해야 합니다.***

냉각수의 교환주기는 40,000~50,000키로마다 점검

및 교환을 해주셔야 합니다.


8,와셔액

  와셔액 탱크입니다. 와셔액을 보충하실때는

  캡위에 와이퍼 모양이 그려져 있습니다.

9,파워스티어링 오일탱크

  유압식 파워스티어링(핸들) 방식은 운전자가

  가고자하는 방향으로 핸들을 움직이면  

  핸들-->파워펌프-->파워펌프 호스-->파워오일탱크

  -->파워스티어링 에셈블리(앞바퀴와 연결됨)

 

 파워오일의 흐름으로 핸들을 쉽고 가볍게 움직일수

 있는것입니다.

 파워스티어링방식은 쉽게 2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유압식과 전기모터식은 MDPS로 나누어 집니다.

 전기모터식인 MDPS는 유압식 보다 핸들조작이

 더 가볍고 편안한 장점이 있지만 전기장치가

 이상이 생기면 핸들조작이 안되는 경우도 생긴다

 는 단점이 있습니다.

 유압식은 MDPS보다는 핸들조작이 무겁지만 

 엔진시동이 걸려 있는한 잔 고장이 크게 없고

 다만 훤밸트점검과 파워고압호스에 시간이

 지나면 미세한 누유가 있어 파워오일을 보충

 해야 하는 경우가 생김니다.

 파워오일 탱크를 확인하시면 MAX/MIN의 

 눈금에서 MAX에 가깝게 있으면 정상입니다.

10,부동액 보조탱크

 부동액 보조탱크(리시버탱크)

 냉각수가 순환하면서 엔진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수가 열을 받으면 팽창을하게 됩니다.

 그럼 라지에이터 안쪽캡이 열려 냉각수를 보조

 탱크로 들어오게 되고 엔진이 냉간시에는 보조

 탱크의 냉각수를 다시 라지에이터로 이동하게

 됩니다. 

11, HCU 유압컨트롤 유닛

  (Hydraulic Contro Unitl) 브레이크모듈입니다.

 브레이크를 사용할때 브레이크의 잠김방지기능

 을하며 급제동시나 눈길이나 빗길제동시 HCU

 컨트롤 유닛에 의해 각 바퀴마다 노면의 상태

 에 바퀴의 회전수를 제어해주는 역할합니다.

 브레이크오일도 교환주기에 교환을 해주어야

 HCU컨트롤 유닛에 수분이 안생겨서 작동하는

 데 이상이 없습니다.

항상 기본적인 점검으로 안전운전 하세요

2017/02/23 - [자동차 안전 시스템] - 자동차 기본점검 엔진룸 내부 명칭과기능에 대하여. . 1부. .

2017/02/22 - [일상속 이모저모] - ASUS(에이수스)노트북 구매후기 짱~~

2017/02/22 - [자동차] - 2017년 SUV스포티지의 새로운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