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릴라의 자동차 이야기의 "카스몽"입니다.
자동차는 우리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이동수단으로써의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동차 운행을 하시다 보면 응급상황이나
모르는 고장등으로 인해서 위험한상황이 발생할수
있습니다.그러나 이런 위험한 상황들이 일어나기
전에 미연에 자동차 고장등을 방지할수가 있습니다.
자동차의 고장을 방지할수 있는것이 기본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기전에 기본적으로 육안점검및
기본점검 만으로도 자동차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대처할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장 기본적인 엔진룸 안에 배치되어 있는
엔진과 각부명칭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엔진룸 안에 적혀있는 번호순대로 각부명칭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올뉴 카니발을 예로 들었습이다.)
1,자동차의 엔진을 의미합니다.
CRDI 16V라고 적혀있는것은 엔진의 보호카바입니다.
엔진보호가바를 열어보면 그안에는 인젝터및 연료라인
과 배선이 보입니다. 엔진카바의 목적은 인젝터및 배선
등에 먼지가 들어가는것을 예방해주며 엔진카바로
인하여 엔진의 소음을 조금이라도 줄이고자 하려고
엔진카바를 사용하며 엔진카바에 CRDI 16V라는 것은
(common rail direct injection engine)디젤엔진에서
사용하는 엔진이며 연료분사방식을 의미하며
*(연료의 흐름:연료탱크-->연료휠터-->고앞펌프--
-(ECU제어)-->커먼레일-->인젝터) 순서이며
커멘레일을 사용하여 운전의 조건에 맞게 연료의
압력을 유지하여 각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여
연료효율성이 좋게하여 연비가 높고 배기가스의
배출가스도 저감되며 공회시에도 엔진의 소음및
진동을 낯출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엔진카바 옆에 노란게이지를 이용하여 엔진오일
의 양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엔진오일의 양은 시동을 OFF한 상태에서 엔진오일
점검게이지를 처음에 뽑고 게이지에 표시되어 있는
MIN/MAM눈금을 휴지나 장감을 이용하여 딱은다음
다시 게이지를 끝까지 꼽았다가 다시 빼서 엔진오일
이 게이지 눈금에 MAX에 근접하면 엔진오일이 정상
이고 눈금에 MIN에 가까우면 엔진오일이 부족한것
입니다. 엔진오일이 부족하다는것은 어디에서 누유
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이럴때 가까운 정비소에
가셔서 점검을 받으셔야 합니다.
2,배터리 입니다.
자동차의 초기시동을 위해서 엔진의 시동을걸때
시동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고 각종 전기장치에두
전기를 공급합니다.
보통 승용차및SUV자동차는 배터리를12V를사용
하고 버스나트럭은24V의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또한 승용차의 배터리는 자동차의 종류별로
배터리의 용량(암페어 A )가 틀리니 배터리를
교체할때는 배터리에 표시된 용량과 같은 용량
으로 교환을 하시면 됩니다.
배터리의 교환주기는 평균3~5년 정도 사용하
시고 교환해 줍니다. 다만 요즘은 블랙박스의
상시연결로 인하여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기
도 합니다.
3,에어크리너 입니다.
에어크리너의 역할은 엔진의 연소과정에는
디젤은 연료와 공기의 압축점화 가솔린의
연료와 공기의 전기점화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엔진에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로서
대기중에 공기를 흡입시 엔진연소실로 공기가
들어갈때 깨끗한 공기가 들어가게 여과해주는
휠터입니다. 이것 크게 점검을 안해주셔도 엔진
오일을 교환할때 엔진오일과 오일휠터,에어크리
너를 같이 교환해 줍니다.
엔진오일의 교환주기는 운행조건마다 틀리지만
평균 6,000km/h~10,000km/h 주행후 교환해
주시면 됩니다.
4,브래이크액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브레이크액은 DOT3,DOT4를
사용합니다. 브레이크오일은 자동차가 주행중 서행을
하거나 정자를 할때 브레이를 밟으면 브레이크오일이
각 바퀴에 설치된 갤리퍼로 이동해 갤리퍼쪽에 피스톤
을 눌러 브레이크라이닝이 디스크를 잡으면서 속도를
줄이거나정차를 하는 원리입니다.
브레이크라이닝은 각바퀴마다 있으며 라이닝은 브레이
크를 잡을때마다 라이닝을 희생하여 마모되는 방법입니
다. 라이닝의 교환주기는 편균 60,000만키로~70,000만
키로에 점검 교환해주시면 됩니다.
브레이크 오일두 라이닝 교환주기에 같이 교환을 해주셔
야 베이퍼록(vapor look)현상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습니다.
라이닝을 체크하지 못하시는 분은 60,000만키로에 점검하
시면 되고 또 브레이크를 밟는데 바퀴쪽에서 쇠갈리는
소리나 엔진룸의 브레이크액을 보시면 브레이크액이 통에
표시된 MAX/MIN 위치표시에서 MIN쪽에 가까우시면
라이닝을 점검 하시면 됩니다.
**베이퍼록 현상이란:
브레이크를 오래 사용하다보면 마찰열에 의하여 브레이크
오일이 기화되어 브레이크라인속에 기포가 발생하여
브레이크를 밟아도 스폰지 밟는 느낌이나면서 브레이크가
잡히지 않는 상황을 말합니다.
5,ECU
ECU는 엔진컨트롤유닛의 약자로
엔진,변속기,ABS모듈,스로틀바디 등을 컴퓨터로
제어하여 각 센서,변속기,엔진 연료량 등을 컨트롤
하며 운전자의 운전상태들을 저장및 컨트롤하는 장치
입니다.
6번설명은 부터는 2부에서 설명해 드리게습니다.
조금이나마 이해되는데 도움이 되셧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2017/02/22 - [일상속 이모저모] - ASUS(에이수스)노트북 구매후기 짱~~
2017/02/22 - [자동차] - 2017년 SUV스포티지의 새로운 변화
2017/02/21 - [자동차] - 국민차 아방이에서 ~신형 아반떼에 이르기까지
'일상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년만의 풀체인지 크루즈의 귀환 (0) | 2017.02.24 |
---|---|
엔진룸 내부명칭 및 기능 2부.. (0) | 2017.02.24 |
ASUS(에이수스)노트북 구매후기 짱~~ (0) | 2017.02.22 |
2017년 SUV스포티지의 새로운 변화 (0) | 2017.02.22 |
국민차 아방이에서 ~신형 아반떼에 이르기까지 (0) | 2017.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