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릴라의 자동차 이야기 입니다.
자동차의 배출가스로 인해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고릴라의 자동차 이야기 입니다.
자동차의 배출가스로 인해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인해 자동차의 배출가스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환경을 생각하여 환경규제에 맞게
유로5,유로6엔진으로 자동차의 배출가스 기술이
발전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승용디젤자동차와 디젤승합차 즉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장치
입니다.
디젤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다기관 중간에 촉매변화기라는 것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엔진에서 연소되고 나온 배출가스를 정화하는 장치
입니다.
디젤자동차에 장착된
*촉매변환기(Three way catalyst)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SCR(Selective Catulyst Reduction)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촉매변환기란
촉매변환기란 디젤자동차의 배출가스가 나오는 곳을 머플러또는 배기관이라고
이라고 합니다.
촉매란 촉매변환기에서 엔진연소에 의해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HC,CO,NOx의
유해가스를 촉매변환기에서 화학반응을 하여 N2,H2O,CO2로 변환시켜
환경에 오염물질을 최소한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 입니다.
*DPF(Diesel Particulate Filter)란
디젤엔진을 장착한 자동차의 운행중 배출되는 배기가스중에 미세먼지
환경및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배출하는데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dpf는 디젤엔진 자동차의 운행중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촉매변환기에
어느정도 일정량이 찼을때 작동을 합니다.
dpf 작동은 고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짧은거리와 서행을 자주하는
경우 자동차가 정차중에도 스스로 RPM을 상승시켜 DPF의 온도를
상승시켜 작동하고 다시 RPM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할때 증상은 DPF의 장상작동하는 상태이고 자도아의 고장이 아닙니다.
또한 고속주행일 경우에는 배출가스의 촉매변환기에 고온을 얻기때문에
RPM 상승없이 미세먼지가 일정량이 쌓이게 되면 스스로 작동을 합니다.
DPF에 작동하려고 무조건 고속주행을 하시라는 말은 아닙니다.
그냥 일정한규정속도로 주행하시면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SCR(Selective Catulyst Reduction)
SCR이란 쉽게 설명드리면 미세먼지가 더 잘타도록 요소수를
미세먼지에 뿌려주는 것입니다.
요소수를 배기라인 쪽에 분사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질소산화물을 DPF및SCR및 촉매변환기에 의해 인체및 환경에
무해한 이산화탄소.물.질소로 변화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요수수를 넣는 차량은 연료주입구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차량마다 요소수 보충시기가 다를수 있고 보통4000~5000키로
주기로 보충을 해줍니다.
보다 간략하게 설명 드리려고 했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여기까지 고릴라의 자동차 이야기 였습니다.
'일상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핸드폰무선충전,무선충전방식 (0) | 2016.12.21 |
---|---|
와이퍼 교체방법,와이퍼교체시기 (0) | 2016.12.20 |
엔진오일 점검 (0) | 2016.12.16 |
신차구매시 알아두어야 할사항 (0) | 2016.12.15 |
보조배터리,핸드폰보조배터리만들기 (3) | 2016.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