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속 이야기

자동차 변속기와 구동방식에 대하여

자동차가 도로에서 주행을 하기위해서는 엔진의 동력을

구동하는 바퀴까지 전달을 하여 자동차를 이동하게끔 하

여야 합니다.

자동차 엔진의 동력을 구동바퀴까지 연결해 주는것이 

변속기 입니다. 변속기는 엔진의 플라이휠쪽에 연결됩

니다. 엔진에 연결된 변속기에서 바퀴까지 연결되는 

추진축이나 리어액슬 또는 등속죠인트(드라이브샤프트)

에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를 통하여 바퀴까지

전달되어 자동차가 움직이게 됩니다.

자동차의 구동방식에는 FR구동방식과 FF구동방식으로

승용차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RR구동방식은 버스에

사용됩니다.

자동차의 구동방식은 여러가지 방식이 있습니다.현재

승용차와 RV자동차에서는 FR,FF구동방식이 가장많이

사용되며 FR구동방식은 엔진이 자동차의 앞에 있고 뒷

바퀴가 구동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FF구동방식은 엔진이 자동차앞에있고 앞바퀴가 구동하

는 방식을 말합니다.

RR구동방식은 버스처럼 엔진이 뒤에 있고 귓바퀴가 구

동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FR자동차의 동력전달순서는 엔진-->클러치-->변속기->

드라이브샤프트-->종감속기어-->구동액슬축-->뒤쪽구동

바퀴로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입니다.

FF자동차의 구동방은 엔진-->클러치-->변속기-->드라

이브샤프트-->앞 구동바퀴로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하게

됩니다.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는 클러치(CLUTCH)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클러치는 운전자가 실내에서 왼발로 클러치

조작으로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에 전달및 차단을 할수 

있습니다. 이 클러치는 수동변속기 자동차에만 있습니다.

자동차가 주행을 하기위해서 운전자의 발로 클러치페달을

 조작하여 기어 동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기어를 변속하

여 주행을 합니다.

클러치의 구성요소 및 작동순서입니다.

클러치의 종류는 기계식과 유압식이 있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수동변속기 자동차는 유압식 클러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클러치의 구성요소는 클러치페달-->마스터실린더-->유압오일파

이프-->릴리스실린더(오페라실린더)크-->릴리스포크-->릴리스베

어링-->클러치커버-->글러치디스크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위의 순서대로 클러치페달을 작동할경우 작동되는 순서흐름

입니다.

위의 클러치 작동순서는 유압식클러치 입니다. 클러치페달을 발로 

밟으면 마스터실린더에서의 유압이 발생하여 릴리스실린더로 이동

하여 클러치를 연결및 차단합니다.

유압클러치의 장점은 적은힘으로도 조작이 편리합니다.하지만 유압

오일의 누유가 있거나 에어가 차면 작동이 어렵습니다.


*변속기의 종류에는 수동변속기,자동변속기,무단변속기가 있습니다.

자동차에서변속기는 꼭 필요합니다. 엔진에서 나오는 출력은 일정하

나 자동차가 저속이나 고속주행을 할때 자동차의 속도를 내거나

줄이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또한 후진을 해야할때도 있기에 변속기

는  아주 중요합니다.

*수동변속기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기어의 단수를 선택하여

운행을 하는 방식입니다.

변속기는 볌속비가 큰것부터 1단,2단,3단4단,5단으로 정해졌습니다.

*자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와 다르게 클러치가 없으며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정도에 따라 또는 주행속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속이

됩니다.

*무단변속기는 벨트방식과 트로이드방식이 있습니다.

무단변속기는주로 벨트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무단변속기는 변속을 무단으로 할수 있으며 연비가우수합니다.

하지만 큰힘을 전달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현재의 변속기는 일부를 자동차를 제외하고는 거의 자동변속기

를 사용합니다. 무엇보다 운전자의 편리합입니다.

*자동변속기의 장점은 운행중 변속을 엔진에서 나오는 토크를

유압으로인해 변속을 하기 때문에 승차감이 좋습니다.

운전중 정차하거나 언덕길을 운행할 경우 출발할때 시동이

꺼지지 않습니다.이렇기때문에 초보자도 운전하기 쉽습니다.

자동변속기의 단점으로는 수동변속기에 비하

여 연비가 조금 나쁘며 변속기의 가격이 비쌉니다.

수동변속기는 방전시 밀어서 자동차의 시동을 걸수 있으나

자동변속기는 자동차를 밀어서 시동을 걸수 없습니다.

자동변속기의 기어패턴은 P-R-N-D-2-L로 되어 있습니다.

또는 P-R-N-D,+,-로 되어 있습니다.

P(PARKING)는 파킹의 약로 주차를 뜻합니다.

기어패턴이 "P"에 놓여져 있어야 자동차의 시동이 걸립니다.

R(REVERSE)의 약자로 후진을 말합니다. 자동차를 정차후 후진을

할경우 "R"위치에 변속레버를 놓으면 후진을 할수 있습니다.

N(NEUTRAL)는 기어가 중립인 상태를 말합니다.이 위치에서는 시동

이 가능하며 자동차의 기어가 중립이므로 경사로에는 "N"으로 놓으

면 자동차가 밀립니다.

D(DRIVE)는 드라이브 즉 주행을 뜻합니다. D에 놓으시고 가속페달을

밟으면 기어가 자동으로 바뀌면서 저속에서 고속까지 주행이 가능합

니다.다만 내리막길에서는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할수 없습니다.

2(2ND)는 기어레버를 "2"에 놓으시면 1단출발을 하여 2단까지만

기어가 바뀌는 것을 말합니다. 겨울철 빙판길에서 사용합니다.

L(LOW)는 자동변속기의 기어가 1단으로 고정된 상태입니다.

내리막길이나 엔진브레이크가 필요할때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