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속 이야기

자동차 기본점검 및 운행전 점검사항

*자동차의 기본점검 및 자기진단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동차 처음구입하여 이제 막 운전을 시작하신 초보운전자분들이나 혹시 모르고 계시는 운전자 오너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하는 기본적인 자동차 자가 진단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어요 우리의 몸속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우리의 몸에서 아프다는 통증을 신호로 보내어 아프다는것을 알수가 있어요 자동차도 마찬가지로 주행중이나 정차중에 자동차에 이상이 생기면 이상음이 생기게되어 운전자에게 이상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이상신호를 무시하고 계속다니게 되면 자동차에 고장이 일어나 운행을 할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자동차의 운행전 점검사항

자동차의 운행전에 하는 검사가 가장 중요합니다.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으며 대략 4~5분 정도면 기본적인 점검을 하실수 있어요 자동차를 운행전 기본점검사항은 시동은 off한 상태에서 점검을 하셔야 합니다. 타이어의공기앞상태,엔진오일적정상태,브레이크오일상태,냉각수 적정량상태, 밋션오일상태등이 있어요




1,엔진오일상태

엔진오일은 주행거리 6,000~7,000km마다 교환을 해주어요 하지만 도로의상태나 운전조건에따라 조금씩 다르게 교환하실수 있어요 운행전에는 기본적인 점검이기 때문에 엔진의 오일점도보다는 엔진오일량이 적당량이 있는지 점검해요 본넷트를 열어 엔진오일점검레벨게이지를 이용하여 게이지눈금에 full선에 가까이 있어야 해요




2,냉각수(부동액)상태점검

자동차의 냉각수는 엔진에서 나오는 열을 식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해요 엔진의 냉각수가 없으면 엔진이 과열되어서 엔진에 무리가되고 엔진의 변형으로 인하여 엔진이 손상될수 있어요 냉각수의 점검은 냉각수 보조탱크에 냉각수의 양이 FULL 와 LOW눈금중에 F선에 가깝게 있는지 확인을하고 냉각수 보조탱크가 보이지 않는경우 라지에이터(냉각수통)캡을 열어 냉각수가 있는지 확인을 해부세요




3브레이크오일상태

브레이크 오일은 주행중 자동차가 정차시 브레이크를 밟으면 브레이크오일이 브레이크실린더로 이동하여 제동이 되는 방법입니다. 엔진룸을 앞에 사진과 같이 보이는것이 브레이크오일 입니다. 브레이크오일이 MAX선에 가깝게 있는지 확인을 하시고 브레이크오일이 MIN선에 브레이크오일이 있으면 브레이크라이닝이 교환주기가 되었거나 브레이크 오일이 누유 된다는 것이기 때문에 필히 주행을 하시면 안되고 가까운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으셔야 해요




4,파워오일상태

파워 오일은 핸들을 작동하기 위한 유압오일이예요 요즘 승용차에는 MDPS라 해서 유압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핸들을 작동하지만 그렇지 않은 승용차나 SUV자동차등은 아직까지 유압오일을 이용하여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방식이 많아요 파워오일 탱크의 유압오일이 MAX에 가깝게 있어야 해요 파워오일이 MIN에 가까이 있을 경우에는 파워오일이 누유가 되는것이니 점검받으셔야 해여


5,타이어 점검

타이어는 우리의 신발과도 같습니다. 타이어는 육안으로 보았으땔 차체가 한쪽이 유난히 쏠려 있는지 확인하시고 각 타이어마다 공기앞이 일정한지 육안으로 확인하세요 어느한쪽이라도 타이어 공기앞이 적게 들어 있으면 운행중 차체의 쏠림이 일어나거나 고속주행중 스텐딩웨이브현상이 일어나 타이어가 파손되어 위험한 상황을 맞이하게 되요 타이어 공기앞은 가장 중요합니다.



6,배터리 점검

배터리는 엔진의 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해요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면 좋지만 측정기가 없기 때문에 배터리는 (+),(-)터미널 단자가 움직이자 않는지 확인을 하세요 터미널이 느슨할경우 간헐적으로 시동불능상태가 될수가 있어요


위의 6가지가 출발하기전 시동이 OFF인상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점검입니다.

이모든것이 정상적으로 되어 있으면 시동을 ON하시고 출발하기전 엔진에서 이상소리가 나는지 확인을 하세요 지금까지 운행전 가장 기본적인 점검해 대하여 알아보았어요 다음음 좀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